Contents
mustache 주요 문법<!doctype html>
<html lang="en">
<head>
<meta charset="UTF-8">
<meta name="viewport" content="width=device-width, initial-scale=1">
<title>blog</title>
</head>
<body>
<nav>
<ul>
<li>
<a href="#">홈</a>
</li>
<li>
<a href="#">글쓰기</a>
</li>
</ul>
</nav>
<hr> <!--줄긋기-->
<section>
<div>
번호 : {{model.id}} <br>
제목 : {{model.title}} <br>
내용 : {{model.content}} <br>
작성일 : {{model.createdAt}} <br>
</div>
</section>
</body>
</html>
mustache 주요 문법
변수 출력:
{{variable}}: 변수를 출력한다. 예를 들어, {{name}}은 name이라는 변수의 값을 출력한다.
조건문
{{#condition}} ... {{/condition}}: condition이 true일 때만 내부 내용을 렌더링한다.
{{^condition}} ... {{/condition}}: condition이 false일 때만 내부 내용을 렌더링한다.
리스트 반복
{{#list}} ... {{/list}}: list의 각 항목에 대해 내부 내용을 반복합니다. 예를 들어, {{#items}}<li>{{name}}</li>{{/items}}는 items 리스트의 각 항목에 대해 <li> 태그를 생성한다.
인덱스 사용
{{#list}} ... {{/list}} 블록 내에서 @index를 사용하여 현재 항목의 인덱스를 참조할 수 있다.
부모 참조
{{..}}: 부모 컨텍스트의 변수를 참조한다. 중첩된 템플릿에서 유용하다.
주석
{{! This is a comment }}: 주석을 추가할 수 있으며, 템플릿 렌더링 시 무시된다.
HTML 이스케이프
기본적으로 Mustache는 HTML 이스케이프를 수행합니다. 만약 HTML을 그대로 출력하고 싶다면, {{{variable}}}를 사용한다. 이 경우 variable의 값을 HTML로 해석.
기본값 제공
{{variable}}에서 variable이 존재하지 않거나 false일 경우, 기본값을 제공할 수 있다. 예: {{variable | defaultValue}}.
Share article